안녕하세요, 레오입니다.
포스팅에 앞서 본 글은 2022년 5월 21일을 바탕으로 작성된 포스팅임을 알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올해 초부터 인플레이션과 같은 여러 가지 국제 이슈로 인해 주식시장의 상황이 많이 좋지 않습니다. 시장이 바닥을 찍었는지, 아니면 추가적인 bear market(하락장)이 남았는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한데요.
오늘은 정확히 향후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 지는 알 수 없지만, '현재의 주식시장이 과연 아직도 고평가 되어있는 상황인가?' 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지표를 가져왔습니다. 미국시장을 대표하는 주식이라 할 수 있는 S&P 500을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PER과 PBR
첫 번째로는 개별 기업을 평가할 때도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들 중 하나죠, PBR과 PER 입니다. PBR은 기업의 자산가치를 대비하여 주가의 비율을 산출한 것이고 PER은 순이익 대비 주가의 비율을 이야기한 것입니다.
S&P 500 PBR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하락장이 시작된 올해 초에 가장 높았고, 현재는 고점 대비 많이 떨어진 상황이네요. 그렇지만 지난 20년 간의 추이를 본다면, 닷컴 버블이 한창인 시절을 제외했을 때 아직도 수치상으로는 고점 구간에 해당하는 듯 합니다.
이익 기준으로 차트를 볼 수 있는 S&P 500 PER 추이는 어떨까요? 이익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PBR 수치보다는 나은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100년 간의 기간을 보면 여전히 고점 구간에 속해있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적어도 지난 20년만 보았을 때는 오히려 저점 구간에 속해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버핏 지수 (Buffett Indicator)
버핏 지수란, GDP 대비 미국 상장사 전체의 시가 총액의 비율을 뜻합니다. 해당 수치가 높다면, GDP 대비 미국 상장사 전체의 시가 총액이 높다는 뜻이므로, 고평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현재의 트렌드는 어떨까요? 2022년 5월 13일 기준으로 산출된 그래프는 아래와 같습니다. 해당일 기준 정확한 수치는 175%로, 역사적 트렌드는 우상향하는 방향입니다.
다만, 버핏 지수만으로 시장이 고평가되었다고 판단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자본주의 역사상 시간이 지날 수록 중앙은행은 화폐를 많이 발행할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그 돈이 증시에 많이 몰렸기 때문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양적 완화로 정리되는 화폐 발행과 주식 시장의 RISK의 연관성을 알고 싶은 분은 하기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2.04.30 - [분류 전체보기] - 2022년 주식 시장의 Risk - 1편. 양적긴축
2022년 주식 시장의 Risk - 1편. 양적긴축
안녕하세요 레오입니다. 주식시장의 횡보로 인해(?) 갑작스럽게 몸이 안좋아서 오랫동안 포스팅을 쉬고 돌아왔습니다. 요새 주식시장이 난리네요, 빅테크 포함 모든 주식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leoworkingmoney.tistory.com
■ 실러 지수 (Buffett Indicator)
실러 지수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Robert Shiller 교수가 제안한, 시장의 밸류에이션 지표입니다(시장이 고평가 되어 있는지? 저평가 되어 있는지?) 한마디로 S&P 500 기업의 과거 10년간 이익 대비 시가총액의 비율입니다.
역사적 트렌드는 어떨까요?
1929년 경제 대공황 당시 black tuesday와 비슷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닷컴버블 때에 비하면 월등히 낮은 수준이고, 2017~2018년 어느 구간보다도 더 낮은 수준으로 보이는데요. 분명한 것은 S&P 500 전체 추이와 비교했을 때는 고점 구간에 속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맺으며
이상으로 시장의 밸류에이션을 할 수 있는 세가지 지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전반적으로 고점 구간에 속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미래는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습니다. 차세대 산업혁명(양자 컴퓨터, 자율주행, 블록체인 등)으로 인해 새로운 먹거리와 성장이 점쳐지고 있는 기대감이 현재의 주식시장에 반영된 것이라면, 그것은 결코 고평가되어 있다고 말하기는 힘들다는 의견도 있습니다(주식 시장은 항상 '선반영'되어 있으므로)
항상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하겠습니다. 항상 말씀드리는 사항은 투자는 20년 ~ 30년 후 먼 미래를 위한 것이므로, 퇴직연금과 연금저축계좌로 먼저 투자를 고려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바쁘시겠지만 블로그 구독과 카카오뷰 채널 친구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카카오 뷰 채널은 재테크 관련 좋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 글에 좋아요와 댓글도 환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