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레오입니다.
오늘은 감히 절세 계좌의 끝판왕이라고 할 수 있는 ISA 계좌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탄으로 나누어 소개해드릴 예정이니, 찬찬히 정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탄. 개설조건, 종류, 특징 및 투자가능상품
2탄. 혜택 및 단점 (건보료 폭탄이라고?)
3탄. ISA 계좌의 절세 및 혜택 최대화 하는 법
ISA계좌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로, 일반인(?)들의 재산 형성을 위해 탄생한 계좌
1. 개설 조건
1) 19세 이상 (15~19세도 근로소득 있으면 가능)
2) 소득 유무 상관 없음
3) 전 금융사 통틀어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
4) 직전 3개년도 *금융소득중합과세자 개설 불가
(*금융소득종합과세란? 이자나 배당 등의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금융소득에 다른 소득(근로소득·부동산 임대소득·사업소득·연금소득·기타소득)을 합산해 종합소득세율로 과세하는 제도)
2. ISA 종류
- 소득에 따라
1) 서민형 : 근로자(소득 5,000만원 이하), 사업자(소득 3,500만원 이하)
2) 일반형 : 서민형 외
서민형과 일반형의 차이는 '세제혜택'에 있으며, 가능하다면 무조건 서민형이 좋습니다. 서민형의 경우, 개설이 조금 복잡한데요. 서민형 소득에 해당되더라도 일반형에 가입했다면, 연간 2회씩 국세청에서 증권사를 통해 한꺼번에 전환을 해줍니다. 어짜피 의무 납입기간이 최소 3년인 상품이기 때문에, 소득기준이 미달되는데 귀찮으신 분들은 일단 먼저 일반형으로 가입하셔도 상관없을 듯 합니다.
- 가입자별 선택에 따라
1) 신탁형 - 투자상품별 신탁보수를 지불하고 고객이 직접 투자 상품을 선택함 (국내상장주식 투자 불가)
2) 일임형 - 운용을 전문가에게 맡기고 보수를 지불하는 방식
3) 중개형 - 신탁형+국내주식, 새로 추가된 ISA 종류로 최근에는 중개형으로 대부분의 상품이 바뀌는 추세
*ISA계좌 개설은 중개형을 추천드리며, 증권사에서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한금융투자
3. ISA 특징
1) 납입 한도 : 최대 한도는 1년에 최대 2,000만원으로 5년간 최대 1억원 까지 납입 가능. 전년도 미납분에 대해서는 이월도 허용.
Ex) ISA 가입만 후 1년차에 1,000만원만 납입했다면, 2년차에는 3,000만원까지 납입 가능
2) 성격 :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해야 하는 중기 목돈 마련형 계좌
(3년 이내 해지할 시 ISA 혜택이 없어지고, 원래 일반 계좌에서 부과되어야할 수익의 15.4% 세금이 부과됨)
3) 만기 시점 : 만기 기간과 상관없이 최소 3년만 지나면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고 해지 가능 (의무가입기간이 3년)
*3년이 되었다고 해지할 필요는 없으나, 수익이 나면 3년 후 해지 및 재가입을 추천드립니다.
4) 재가입 가능 여부 : Y
3년간 손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고 해지한 후에, 다시 재가입하여 세제혜택을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5) ISA계좌 개설은 일반 은행/증권 계좌와 달리 20일 계좌 개설 제한의 적용을 받지 않음.
6) 만기 전 원금에 한해서는 인출이 가능함. 다만 인출한 금액에 대해서는 연간 납입한도에서 원복되지 않음
예를 들어, 레오는 ISA 계좌 개설 후 1,000만원을 입금했습니다. 연간 납입한도가 2,000만원이니 추가로 1,000만원을 입금할 수 있겠죠? 그런데 중간에 갑자기 급한 일이 생겨 500만원을 인출했습니다. 연간 납입한도 2,000만원에서 1,000만원만 넣었고 500만원은 인출했으니, 이제 납입한도는 1,500만원이 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인출분에 대해서는 한도가 다시 원복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레오에게 남은 연간 납입한도는 500만원을 인출한 시점에도 여전히 1,000만원이 됩니다. 추가로, 투자로 수익이 발생하여 원금(납입 금액)보다 큰 금액을 인출한다면, 자동으로 해지로 간주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 ISA 투자 가능 상품
- 예/적금
- 펀드 : 국내주식형/채권형, 해외주식형/채권형, 국내/외혼합형
- 파생결합증권
- ETF/ETN/상장펀드
- 국내 상장 주식(유가증권 시장, 코스닥, 코넥스 상장 증권, 공모주)
*가입유형에 따라 편입상품은 다를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IRP/퇴직연금에서 투자할 수 없는 파생상품 (ex. 레버리지/인버스 ETF)에 투자할 수 있고, 특정 국내 주식에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IRP/퇴직연금과 달리 안전자산을 30% 비중으로 채워야 하는 규정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는 ISA 계좌의 자유도를 활용하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다만 해외 상장 주식 및 ETF에는 투자가 불가합니다.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해외주식 ETF, 예를 들어 TIGER 나스닥 100 ETF는 혹은 해외펀드는 ISA로 투자 가능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ISA에 기본적인 사항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편은 ISA 세제혜택 및 단점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2022.04.05 - [지금 당장 시작해야할 것/ISA] - 절세계좌 끝판왕 - ISA 계좌의 모든 것 2탄. 혜택 및 단점 (건보료 폭탄이라고?)
절세계좌 끝판왕 - ISA 계좌의 모든 것 2탄. 혜택 및 단점 (건보료 폭탄이라고?)
안녕하세요 레오입니다. 1탄에서는 ISA 계좌의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면, 2탄에서는 혜택과 단점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탄. 개설조건, 종류, 특징 및 투자가능상품 2탄. 혜택
leoworkingmoney.tistory.com
바쁘시겠지만 블로그 구독과 카카오뷰 채널 친구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특히 카카오 뷰 채널은 재테크 관련 좋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 글에 좋아요와 댓글도 환영합니다:)
'지금 당장 시작해야할 것 > I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세계좌 끝판왕 - ISA 계좌의 모든 것 3탄. ISA 계좌의 절세 및 혜택 최대화 하는 법 (0) | 2022.04.05 |
---|---|
절세계좌 끝판왕 - ISA 계좌의 모든 것 2탄. 혜택 및 단점 (건보료 폭탄이라고?) (0) | 2022.04.05 |
댓글